신간도서
하단바
|
사회복지사가 입직할 수 있는 사회복지시설은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에 근거한 다양한 사회복지시설, 그리고 노인 돌봄을 위하여 2008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노인장기요양기관 등 다양하다. 이런 사회복지시설에서 중추적인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은 대학(2년제, 4년제)에서 전공을 하거나, 단기 1년 과정(학점은행제)으로 사회복지사 자격을 취득하고 사회에 배출된다. 하지만 현장경험이 없는 사회복지사들은 사회복지시설이나 기관에서 담당해야 할 사회복지행정(평가지표에 근거)실무와 사회서비스포탈(희망e음)을 활용한 문서작성 및 재무회계 전산업무 등을 자기 주도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유는 사회복지사 자격취득 과정에서 사회복지실무를 체계적으로 배울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사회복지사가 입직을 하더라도 단기간 근무하고 이직을 하거나 전공을 하고도 다른 일에 종사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사회복지현장 종사자들도 체계적으로 실무를 배울 기회를 갖지 못하고 선배들이 그때그때 알려 주는 단편적인 지식이나 혼자 이런저런 규정이나 매뉴얼을 찾아가며 알게 된 불확실한 지식으로 주어진 사회복지실무를 하고 있을 것이다. 사회복지현장에서는 실무 지식이 준비되지 않은 사회복지사를 채용하여 업무의 비효율을 경험하게 되면 더욱더 실무에 대한 지식을 갖춘 사회복지사에 대한 수요가 증가된다. 필자도 학교 강단에서 그리고 사회복지현장에서 종사하면서 아쉬웠던 점이 사회복지사들이 전공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현장 실무에 대한 지식을 갖춘 사회복지사를 만나기 어려운 점이었다. 이 책은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학생들과 사회복지실무 경험이 부족한 사회복지사들을 위하여 다양한 사회복지시설에서 사회복지사들이 담당하는 실무를 담고자 하였다. |